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트캠프후기
- 그래프
- 스타터스
- SQL
- 알고리즘
- 유데미큐레이션
- 딥러닝
- 취업부트캠프
- BERT
- pytorch
- NLU
- 추천시스템
- 스타터스부트캠프
- 사이드프로젝트
- 데이터도서
- 그로스해킹
- 토스
- 유데미부트캠프
- AWS builders
- 특성중요도
- 임베딩
- AARRR
- sql정리
- SLASH22
- 서비스기획
- 유데미코리아
- MatchSum
- 서비스기획부트캠프
- NLP
- 취업부트캠프 5기
- Today
- Total
목록알.쓸.데.상 (5)
다시 이음

안녕하세요. 오늘은 딥러닝 라이브러리인 Pytorch와 TensorFlow 중 어떤 라이브러리를 배우는게 좋을지, 어떤 라이브러리가 자주 사용되고 있는지 트렌드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블로그 글을 찾아 리뷰하려고 합니다. 본문은 AsemblyAI 블로그(http://www.assemblyai.com/blog/pytorch-vs-tensorflow-in-2022/)의 글을 토대로 정리한 글입니다. 참조한 글에서는 모델 가용성, 배포 인프라, 생태계로 나누어 Pytorch와 TensorFlow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있습니다. 1. Pytorch? TensorFlow? 둘다 오픈소스 딥러닝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입니다. Pytorch가 파이썬에서 직관적으로 해석되는 부분 때문에 현재 많이 사용되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딥러닝에 대한 프로젝트나 구현을 할 때 유의하면 좋을 점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간단한 내용임에도 누군가 알려주지 않으면 헛 시간을 쓰게 되더라구요;;) 1. 어떤 언어,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인가? 프로그래밍언어로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에서 구현이 가능한 모델, git을 찾아야합니다. 어떤 모델을 구현해보고 싶어서 무작정 아무 블로그 글을 보고 따라하려고 했다면 천천히 다시 살펴보세요. 그 블로거가 사용하는 언어는 무엇인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는 무엇인지 를 꼭 알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딥러닝에 자주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로는 TensorFlow, Pytorch 등이 있는데 라이브러리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같은 모델이더라도 구현하는 방식과 참고해야하는 공식문서, 코..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하게 csv파일을 파이썬에서 읽을 때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해결방법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No such file of directory. 이 문구가 나왔다면 입력하신 경로에 불러오려는 파일이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들 어,,, 경로 복사해서 제대로 넣었는데 안되서 들어온 건데.. 라고 생각하실 거 같아요. import csv # csv 읽기모드로 불러오기 f = open('경로/파일이름', 'r', encoding='utf-8') import os path = os.path.join(os.path.dirname(__file__), '파일이름') f = open(path, 'r', encoding='utf-8') # 오류 해결 -- 메소드를 통하여 불러올 파일이름의 경로를 파악했기때..

안녕하세요. 일주일 간 프로젝트 발표 준비를 하기 위해서 잠시 블로그 활동을 멈췄습니다. 오늘로 발표가 끝나고 피드백도 받았기에 널널한 마음으로 다시 블로그 업데이트를 할거에요. 오늘은 따로 배운 게 없기 때문에 제가 배웠던 부분에서 다시 상기해볼 수도 혹은 좀더 심화된 지식을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AI 대학원 면접 예상 질문!!! Statistic 통계 / Probability 확률 1) Central Limit Theorem(중심 극한 정리)이란 무엇인가? Sample 데이터의 수가 많아질 수록, sample의 평균은 정규분포에 근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라고 이전 포스트에서 아주 축약해서 올린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심화과정이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 : 동일한 확률분포를 가진 독립..

일주일에 평일에는 모두 블로그에 그 날 배운 지식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만.. 평일에 하루는 배운 것에 대한 테스트를 하는 날이라 딱히 스스로 배운 내용 다시 복습밖에 없어서 생각해낸 컨텐츠는 바로?! 알아두면 쓸데 있는 데이터 상식 ㅎㅎ 비전공자로서 나중에 취직을 하게될 때 배운 지식 말고도 도메인 지식이나 데이터 관련 지식에 대한 관심도 도 충분히 고려할 거 같기에 그걸 충족 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생각해봤습니다 헿 아직 배운 게 티끌이라 전체적인 구도를 못보고 있지만 그래도 차차 질 높은 컨텐츠를 만들 수 있을 거 같아요. 오늘의 주제는 고차원의 문제( The Curse of Dimensionality ) 입니다. 1) 차원(dimensionality)? 각 샘플을 정의하는 정보의 개수가 차원 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