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서비스기획
- 그래프
- 스타터스부트캠프
- AWS builders
- NLP
- AARRR
- 특성중요도
- SQL
- 유데미큐레이션
- MatchSum
- 추천시스템
- BERT
- 딥러닝
- 알고리즘
- SLASH22
- 부트캠프후기
- 사이드프로젝트
- 토스
- 데이터도서
- sql정리
- 임베딩
- 서비스기획부트캠프
- 유데미부트캠프
- 유데미코리아
- 취업부트캠프 5기
- 취업부트캠프
- pytorch
- NLU
- 그로스해킹
- 스타터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54)
다시 이음

두런두런 웹프로젝트 2,3차 회의 후기를 남기려고 합니다. 2,3주차 회의를 진행하다보니 PO가 해야할 일들에 대해 감을 잡고 있는 것 같아요. 이번에 얻은 교훈이 있다면 PO는 관리하는 사람이지 모두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사람이 아니다. 왜 이렇게 생각했냐하면요. 2차 회의를 진행하면서 킥오프 미팅을 하면서 나왔던 의견을 정리하고 그 내용을 주제로 해서 이야기를 더 나눠볼 예정으로 준비하고 갔는데 팀원분들의 넘치는 아이디어에 매몰되어... 진행하는 제가 어버버 해버렸습니다ㅠㅠ 실패 요인을 생각해보면 제가 PO로써 휘둘리는게 아니라 아이디어에 있어서 방향성을 제대로 잡고 말하면 좋았을 텐데 너무 모두의 의견을 들어보려고 하다보니 회의가 루즈해지고 하나도 정해지는게 없는 사태까지 간거겠죠.. 그래서 회의..

드디어 PO라는 무거운 역할과 함께 두런두런 웹 프로젝트 킥오프가 진행이 되었습니다.. 몇주간 어떻게 진행할 지, 어떻게 협업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들 이해를 하고 잘 이용을 해줄지 생각하면서 이것저것 책도 보고 검색도 하고 해서 만들어낸 노션 템플릿 입니다. 노션 템플릿에 들어간 내용들을 말하기 앞서 회의를 어떻게 진행하였나면요. 킥오프 미팅 목차 1.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2. 프로젝트 팀 변동 사항 3. 프로젝트 운영 방법 설명 4. 오늘 회의할 것(간단한 아이디어 공유) 5. 다음주까지 준비할 것 위의 순서대로 진행하였습니다. 하나하나씩 내용을 간단하게만 살펴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프로젝트의 모집공고를 어떻게 보고 들어왔건 어느정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어쩌다보니 난 서비스기획자에서 PO가 되었다. 서비스기획자, PO, PM 이렇게는 정말 혼용되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인데 과연 어떻게 정의해야 두런두런 사프를 하면서 나의 지식도 채우고 팀원들에게 민폐가 되지 않게 진행할 수 있을까?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843/ PO는 무슨 일을 하나요? 10년 차 PO가 답변해드립니다 | 요즘IT 커피챗을 신청하는 사람들은 대학생, 취준생, 이제 막 취업한 주니어 기획자, 창업자, 미들급 PO등으로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신청 비율이 높은 건 주니어 기획자이다. 지금까지 총 38번 yozm.wishket.com 위의 아티클을 많이 참고하였다. PM, PO의 정의 PO(Product Owner) 하나의 제품을 담당..
치열하게 보냈던 23년 웅진 씽크빅 인턴이 끝나고 허허벌판에 뚝하니 떨어져 나온 기분이란 상상도 하기 어렵다. 처음엔 드디어 여유가 생기는 구나 하는 생각으로 기뻤던 것 같은데 이제는 그런 생각이 들지 않고 다시금 취직이라는 큰 어려움 앞에 서서 하루하루 내가 잘해내고 있는지 걱정하는 사람이 되었다. 이렇게 나의 어리숙함을 마주하고 누군가에게 계속해서 평가를 당하는 것만 같은 기분을 느껴야할 땐 나이가 많고 적음을 떠나 갑작스러운 우울감이 찾아오기도 한다. 언제나 누군가에게 탈락의 고배를 억지로 떠넘겨받아 꿀꺽꿀꺽 삼켜야만 하는 취준생은 슬프기가 이를 데가 없다. 그래서 다시 도전하기로 했다. 누군가에게 평가를 당하더라도 조금은 당당할 수 있도록 나를 마주보고 부족함을 메워야만 한다. 노력하는 사람을 보..

안녕하세요. 로켓펀치 취준컴퍼니를 신청해볼까? 라고 생각하는 취준생분들께 도움이 되기 위해서 제가 취준컴퍼니 한달동안 활동하면서의 후기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주차에는 취준컴퍼니로 신청하면 사용할 수 있는 "집무실" 공간에 대한 소개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집무실 왕십리 점에서 주로 있기 때문에 왕십리점에서 대한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해요. 1. 집무실이란? https://www.jibmusil.com/ 집무실, 집 근처 사무실 분산 오피스 1등, 근사한 업무 공간 www.jibmusil.com 집 근처 사무실의 줄임말로 집무실이라고 작명하신 것 같아요. 공유 워크 플레이스로써 잘 정돈된 공간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2. 왕십리점 소개 1. 위치 왕십리점은 왕십리 역에서 5분거리..
최근에 회사가 갑작스럽게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애자일 애자일 외치더니 진짜 애자일하게 100명이 넘는 집단을 한순간에 변경시켰다. 과연 인턴인 내가 무엇을 해야 걸림돌이 되지 않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까? 모든 기업들에게 애자일이라는 영감을 주었을 '아마존'의 도서에 자연스럽게 손이 갔다. 아마존은 거꾸로 일한다?! '플랫폼 전략 기업 혁신 매뉴얼' 도서 우리 회사가 갑자기 진행한 조직 개편은 이 책에 나오는 아마존처럼 초기 구성 단계를 바꾸는 시발점이 되는 것일까? 책을 읽기 전에는 이유를 모르겠는 거대한 조직개편에 어이가 없었지만 그렇게 라도 조직 사회를 변경하려는 큰 의미일지도..? 2피자팀은 애자일한 환경을 위해서 두 판의 피자로 모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팀원들로 구성되어야한다는 의미로 결..
유데미에서 수강이 가능한 OpenAI API 마스터하기: GPT-4의 무한한 창의성 끌어내기 라는 강의를 정리한 내용을 게시합니다. 웅진씽크빅 다니니까 유데미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정말 좋네요. 인턴기간에 많이 들어둬야겠습니다. https://platform.openai.com/docs/api-reference OpenAI Platform Explore developer resources, tutorials, API docs, and dynamic examples to get the most out of OpenAI's platform. platform.openai.com OpenAI API를 사용할 때 꼭 확인해야할 레퍼런스를 보고 진행을 하는 형식입니다. max_tokens 출력되는 토큰 수..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113/ 실험 조직으로 거듭나기: ② 검증할 ‘만’한 가설은? | 요즘IT 오늘은 실험 조직으로 거듭나기 2편으로, 가설의 뼈대를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로스(Growth)와 실험 문화를 팀에 도입하고 싶은 분, '무엇'을 '어떻게' 검증해야 할지 헷갈리는 분, 가 yozm.wishket.com 오늘은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아티클을 가지고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해당 아티클의 내용이 이전에 원티드에서 진행한 프리온보딩 마케팅 에서 들었던 부분과 많이 비슷하네요. 그래서 아티클과 원티드에서 들었던 내용을 같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티클에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순서를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검증할 ..
웅진유데미 스타터스 서비스기획을 수료하고나서 3개월동안 매일 같이 아티클을 공유하고 했던 것들이 너무 좋았어서 블로그에 정리 겸 추후에는 계속해서 아티클을 공유하기 위해 카테고리를 생성했습니다. 시작도 하기 전에 보면 좋을 아티클이 적어도 100개는 쌓여있는 것 같은데 그중에 정말 나중에도 계속해서 보고 싶은 것들 위주로 정리하겠습니다. 해당 아티클 공유는 아래 링크의 내용을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https://medium.com/plusx-ux-lab/%EC%9D%B4-%EC%95%B1%EC%9D%80-%EC%96%B4%EB%96%BB%EA%B2%8C-%EC%84%A4%EA%B3%84%ED%95%9C-%EA%B1%B8%EA%B9%8C-c1cf91452e20 이 앱은 어떻게 설계한 걸까? 내가 취준생 때..

1. 12주차에 무엇을 했는가? 스프린트2가 끝났습니다. 이번 발표는 제가 하게 되었는데 정말 이렇게 발표준비를 제대로 못한 채로 발표를 해본 게 얼마만인지 모르겠네요. 체력은 빌려쓰는 것이다.. 모든 체력을 빌려썼습니다.. 이번주에 평균 수면시간이 4시간도 되지 않았습니다. 발표날에는 3시간도 못잔것 같아요. 저만 고생한 것이 아니라 저희 팀원 모두가 고생을 했기 때문에 정말 너무 고마우면서도 안타까웠습니다. 아무래도 기획자들이 모여있다보니까 끈기도 엄청나기도 하고 책임감도 엄청 넘쳐서 정말 다들 고마웠습니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는 없다. 정말 완벽함을 버리는 것이 저에게는 개인적으로 힘들었습니다. 제가 그렇게 까지 완벽함을 추구하는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은가봐요. 기획..